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KIA 타이거즈
(r2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[[/역사|역사]] == [include(틀:상세 내용, 문서명=KIA 타이거즈/역사)] 전신 [[해태 타이거즈]] 시절을 포함하여 통산 우승 12회로 최다 우승팀[* 여담으로 [[NPB]]에서는 [[요미우리 자이언츠]]가 [[MLB]]에서는 [[뉴욕 양키스]]가 최다 우승팀이다. 이 세 구단은 묘하게 닮은 점이 많긴 하다. 팬이 많다던지, 그만큼 안티도 많다던지, 외모 규정 같은 세부사항이 엄격하다던지 등등. 여담으로 이 세 구단이 한꺼번에 우승한 시즌은 2009년이다. [[2009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한국시리즈|2009년 한국시리즈]]와 [[2009년 일본시리즈]], [[2009년 월드 시리즈]] 참고.],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의 두자릿수 우승팀이다. 매 10년대마다 우승을 차지한 유일한 구단이기도 하다.[* 원년 구단 중 [[삼성 라이온즈]]는 1990년대에, [[두산 베어스]]는 2020년대에 우승 경험이 없으며, [[롯데 자이언츠]]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우승을 해봤지만 21세기 이후 우승은커녕 한국시리즈에 가본 적도 없다. [[LG 트윈스]]는 1990년대에만 두 번 우승했다가 2023년에 세번째로 우승했고 [[현대 유니콘스]]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짧고 굵게 네 번 우승을 차지하다 해체의 비운을 맞았다. 확장 구단 중에는 1985년 창단한 [[한화 이글스]]가 1990년대 마지막 해에 유일하게 우승을 맛봤고 1990년 창단한 [[쌍방울 레이더스]]는 구단 역사상 단 한 번도 한국시리즈에 오르지 못한 채 구단 문을 닫았다. 2000년 창단한 [[SK 와이번스]]는 2000년대와 2010년대, [[SSG 랜더스]]로 바뀐 2020년대 모두 우승 경험이 있고 2008년 창단한 [[키움 히어로즈]]는 아직 우승을 해본 적이 없다. 2010년대에 창단한 [[NC 다이노스]]와 [[kt wiz]]는 모두 2020년대에 와서 첫 우승을 경험했다.] 역대 우승 연도는 1983년, 1986년 ~ 1989년, 1991년, 1993년, 1996년 ~ 1997년, 2009년, 2017년, 2024년. 덧붙여 현재까지 인수/인계 경험이 있는 구단 중 처음으로 인수 전후 모두 우승을 달성했고, [[SSG 랜더스]]와 함께 인수 전후 모두 우승한 둘 뿐인 구단이다.[* [[현대 유니콘스]]는 1980년대~1990년대 [[삼청태]] 시절에 우승한 적이 없고, [[LG 트윈스]]도 [[MBC 청룡]] 시절에 우승한 적은 없으며 [[두산 베어스|베어스]]와 [[한화 이글스|이글스]]는 구단명만 OB와 빙그레에서 바뀌었을 뿐 창단 당시부터 모기업은 그대로 [[두산그룹]]과 [[한화그룹]]이었다.] 해태 타이거즈 시절의 우승은 [[선동열]] 효과라는 이야기도 있으나 선동열 이전에도 1983년에 우승한 적이 있고, 선동열이 타이거즈를 떠난 후에도 [[이종범]]을 필두로 [[홍현우]], [[이강철]], [[조계현]] 등의 활약으로 인해 1996~1997년에 다시 2연승을 달성했고, 의외로 선동열은 [[KBO 한국시리즈|한국시리즈]]에서 6승 1패 4세이브 72.1이닝 1.74의 평균자책점으로 리그에서보다 다소 부진했다. 선동열은 프로 통산 1,647이닝 평균자책점 1.20을 기록했으며 0점대 평균자책점도 세 차례나 했으니 오히려 한국시리즈에서만큼은 네임밸류에 비해 부진이라고 하면 부진(?)이라고 볼 수 있다. 물론 정규시즌에서는 선동열의 역할이 컸고 타이거즈의 페넌트 레이스 우승에 기여를 해서 한국시리즈에서 유리한 위치를 잡을 수 있었으니 선동열이 우승에 공헌했다고 해도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. 당시에는 [[선발 투수]]로 하루 등판시켜서 며칠씩 쉬게 하느니 선발, 불펜, 마무리 가리지 않고 등판시키는 방식을 썼다. 선발이 일찍 무너지거나 무너질 기미가 보이면 바로 올려서 몇 이닝씩 던지게 하고 심지어 컨디션이 엉망인 날에도 상대 구단 기죽이기를 위해 불펜에서 몸을 풀게 했을 정도. 실제로 선동열은 프로 통산 367경기에 출장했지만 선발로 출장한 경기는 109경기밖에 되지 않는다. 물론, 이 당시에는 에이스 투수고 나발이고 마구잡이로 굴리는 게 관례였다. 특히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'''[[KBO 한국시리즈|한국시리즈]] 4연패''' 기록은 깨지기 힘들 기록이라는 평을 받았다. [[SK 와이번스]]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년 연속으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여 3번 우승하며 이 기록에 도전하였으나 2009년엔 KIA가 직접 [[SK 와이번스|SK]]를 쓰러트리며 기록 달성을 저지했다. 이 4년 연속 우승 기록은 후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시리즈에서 4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한 [[삼성 라이온즈]]가 타이 기록을 세웠다.[* 삼성은 2015년에도 페넌트 레이스 1위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해 한국시리즈 5연패 신기록에 도전했지만 [[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|원정 도박 사건]]의 여파로 준우승에 그치며 기록 달성에 실패한다.] 또한 포스트시즌에서 패배한 적은 있지만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하면 무조건 우승했다. 즉, 한국시리즈 [[준우승]]이 단 한 번도 없다는 말이다. [[1993년 한국시리즈|7차전까지 갔어도]] [[2009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한국시리즈|마지막에 꼭 이겼다.]] 반대로 준플레이오프,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는 이긴 적이 한 번도 없고, 플레이오프에서도 1989년 승리가 마지막이다. 여태까지 KIA가 한국시리즈에서 만난 구단은 아래와 같다. * [[삼성 라이온즈]]: [[1986년 한국시리즈]], [[1987년 한국시리즈]], [[1993년 한국시리즈]], [[2024 신한 SOL Bank KBO 한국시리즈|2024년 한국시리즈]] * [[빙그레 이글스]][* [[한화 이글스]]로 구단명이 바뀌고 나서 만난 적은 없다.]: [[1988년 한국시리즈]], [[1989년 한국시리즈]], [[1991년 한국시리즈]] * [[LG 트윈스]]: [[1983년 한국시리즈]]([[MBC 청룡|MBC]] 시절), [[1997년 한국시리즈]] * [[현대 유니콘스]]: [[1996년 한국시리즈]] * [[SK 와이번스]][* [[SSG 랜더스]]로 구단명이 바뀌고 나서 만난 적은 없다.]: [[2009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한국시리즈|2009년 한국시리즈]] * [[두산 베어스]]: [[2017 타이어뱅크 KBO 한국시리즈|2017년 한국시리즈]] 다만 [[삼성 라이온즈]]와는 달리 한국시리즈에 진출할 때 [[삼성 라이온즈]]와 4번, [[빙그레 이글스]]와 3번 만났기 때문에 생각보다 상대하지 않았던 구단이 꽤 된다. 아래는 KIA가 한국시리즈에서 만난 적 없는 구단이다. * [[롯데 자이언츠]]: [[KBO 플레이오프/1992년|1992년 플레이오프]](1패) * [[키움 히어로즈]]: [[2018 신한은행 MY CAR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|2018년 와일드카드 결정전]](1패, [[넥센 히어로즈|넥센]] 시절) * [[kt wiz]]: [[2022 신한은행 SOL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|2022년 와일드카드 결정전]](1패) * [[쌍방울 레이더스]], [[NC 다이노스]]: 포스트시즌 상대전적 없음[* 쌍방울의 경우 [[1996년 한국시리즈]]에서 맞붙을 뻔 했다. [[KBO 플레이오프/1996년|1996년 플레이오프]] [[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|전주]] 1-2차전에서 쌍방울이 [[현대 유니콘스]]에게 2승 무패로 기세를 올릴 때만 하더라도 "사상 처음으로 전라도 연고 야구단끼리 한국시리즈가 열릴 수 있겠다"는 기대감이 커졌다. 그러나 뒤이어 열린 [[숭의야구장|인천]] 3-4차전과 [[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|잠실]] 5차전에서 쌍방울이 내리 지는 바람에 사상 첫 전라도 연고 구단 간의 한국시리즈 맞대결은 이뤄지지 못했다. 그리고 쌍방울이 1999년을 끝으로 해체되면서 전라도 연고 구단 간의 한국시리즈 매치업은 전북 연고의 신생 구단이 다시 탄생하기 전까지는 볼 수 없게 됐다.][* NC의 경우에는 2022년에 5위와 6위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.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